평범한 것은 싫다
탐정 일이란 천한 짓이지. 오직 신사나 악당만이 할 수 있어.
-키스 이네스
<The Rising of the Moon>(1945) - 글래디스 미첼
<The Rising of the Moon>(1945) - 글래디스 미첼
드라마의 주인공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때그때 달라지긴 합니다. 예를 들어 멜로드라마에 등장하는 주인공을 살펴보면 하나같이 잘생기고 인간성은 훌륭하고 머리 역시 좋아서 흠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인물들이 태반입니다. 다만 너무 착한 것이 약점일 뿐. 이 주인공들은 어떤 위험과 마주쳐도 죽지 않으니(좀 고생은 합니다만) 초인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나 TV처럼 눈으로 보는 것에 의존하는 영상 매체에서는 잘생긴 사람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겠지요.
반면 추리소설은 두뇌의 오락이라는 측면이 강한 탓에 등장인물들, 특히 탐정들의 외모나 성격은 그들의 뛰어난 머리를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다소 독특한 묘사와 설정이 많았습니다. 그것은 현대 추리소설의 원조 격인 에드거 앨런 포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도 할 수 있겠네요. 포는 자신의 반항적인 기질 탓인지 유별난 성격의 주인공을 만들어 내었는데,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퇴락한 귀족 가문 출신의 아마추어 탐정 뒤팽은 밝은 쪽 보다는 어두운 이미지가 훨씬 강합니다. 밤의 어두움을 좋아해서 대낮부터 창문을 가린 채 향기 나는 촛불을 켜 놓고 명상에 잠기는가 하면 밤이 되면 거리로 나가 산책을 즐긴다는 습관은 도무지 평범하다고 할 수 없겠지요. 주인공에게 이런 괴상한 버릇을 부여한 것은 훗날의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산책중인 뒤팽(오른쪽)과 친구(포처럼 보입니다).
그나마 뒤팽, 홈즈는 점잖은 편입니다. 수수께끼 풀이 형식 추리소설의 시대에 등장했던 탐정들의 괴벽은 작품의 분위기를 전환하는 데나 주로 쓰였을 뿐이었지 그 요소들을 크게 강조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른바 ‘셜록 홈즈의 라이벌들’이라고 불렸던 수많은 단편의 주인공들은 홈즈라는 인물의 개성을 능가하기 위해 상상할 수 있는 괴상한 습관을 보여주었습니다.
멍청한 얼굴에 우산을 거듭 잃어버리는 브라운 신부라던가, 쉴 새 없이 매듭을 만지작거리며 수다를 떠는 구석의 노인, 왕위 계승 신분을 버리고 러시아에서 쫓겨나 런던 교외의 낡고 큰 저택에서 꼼짝도 하지 않는 잘레스키 왕자, 철저한 채식주의자에 적에게 잡혀도 시간이 되면 반드시 식사를 해야 하는 탐정 소프 헤이즐, 셜록 홈즈의 열성 팬으로 통신교육 탐정기술강좌를 수강한 아마추어 (엉터리) 탐정 파일로 겁, 심지어는 뤼팽 같은 도둑들까지 탐정으로 나설 지경이었습니다. 그런 반면에 약점이 보이지 않는 탐정들도 수두룩하게 등장했습니다. 오만한 성격만 제외하면 매력적인 반 다인의 파일로 밴스, 너무나 사무적인 오스틴 프리먼의 손다이크 박사 등은 그리스 조각 같은 외모에 다재다능한 능력을 지닌 대표적 탐정입니다. 하지만 이런 인물들은 그저 추리력을 보여주는 기계로 보일 만큼 독자에게는 인간적인 매력을 주기 어려웠지요.
황금기의 주요 작가이며 밀실의 제왕이라 불리는 미국 작가 존 딕슨 카는 늑대인간, 마녀, 강령술(降靈術), 흡혈귀 전설 등 괴기스러운 소재를 다루었지만 기디언 펠 박사나 헨리 메리베일 경과 같은 우스꽝스러운 면을 가진 등장인물을 만들어 내 딱딱함을 탈피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유머란 범죄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여겨지지만 어둡고 차가운 분위기를 전환해 주는 데에는 가벼운 웃음만큼 적절한 것이 없습니다. 또한 주인공들의 철저한 완벽함 보다는 어딘가 보이는 약점은 독자들에게 친근감을 느끼게 해 준다는 점도 있지요.
'세 개의 관' 표지에 보이는 펠 박사
도버 경감이 어떤 사람인지 딱 감이 오시겠지요?
영국의 주인공들이 실소를 자아내게 하는 괴짜들이라면 70년대 이후 미국에 등장한 탐정들은 현실 사회를 반영하는 모습으로 등장했습니다. 로저 사이먼의 <인간의 덫(The Big Fix)>에 등장한 유태계 사립탐정 모우지스 와인은 대마초를 비롯한 마약을 거리낌 없이 상용하고 있으며, 조셉 핸슨의 작품에 등장하는 보험조사원 데이브 브랜드스태터는 동성연애자입니다. 앤드류 복스의 주인공 버크는 무허가 탐정인데 전과 27범이기까지 하니 도대체 무슨 일이 생겨야 그를 찾을 일이 생길까 궁금할 지경이죠.
사립탐정 모우지스 와인(리처드 드레이푸스).
그러나 위에 열거한 이들은 아무리 이상한 성격을 가졌더라도 사람임에 틀림없는데, 가끔 상식을 넘어서는 상상력을 발휘하는 작가들은 초자연적인 존재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기도 합니다. 시바타 렌자부로의 <유령신사>, 야마구치 마사야의 <살아있는 시체의 죽음>에 등장하는 탐정은 유령과 이미 죽어서 심장이 뛰지 않는 시체입니다.
무엇을 구상하십니까... 야마구치 마사야
맨 왼쪽이 주인공 빈센트 루비오(샘 트래멀). 겉보기엔 공룡처럼 보이진 않네요.
새해도 며칠 지났네요. 여기 오신 분들 모두 올해의 주인공이 되시길 바랍니다. (:P)
'추리동 본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마로 읽는 미스터리 <17> 성직자 탐정 (7) | 2011.01.19 |
---|---|
테마로 읽는 미스터리 <16> 탐정의 결혼 (8) | 2011.01.13 |
테마로 읽는 미스터리 <15> 괴짜 주인공 (13) | 2011.01.05 |
테마로 읽는 미스터리 <14> 겨울 (4) | 2010.12.29 |
테마로 읽는 미스터리 <13> 탐정들의 나이 (7) | 2010.12.22 |
테마로 읽는 미스터리 <12> 동양사람 (10) | 2010.12.15 |
TAG 기디언 펠 박사,
뒤팽,
로저 사이먼,
모우지스 와인,
빈센트 루비오,
셜록 홈즈,
야마구치 마사야,
에드거 앨런 포,
에릭 가르시아,
윌프레드 도버,
조이스 포터,
존 딕슨 카,
피터 다이아몬드,
피터 러브지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고...공룡!;;
다들 공룡 탐정에ㅋㅋㅋ 작가의 상상력이 부러워요^^
공룡 탐정에 비하면
제가 구상한 탐정은 아무것도 아니군요.
너무 기괴하다는 생각에 망설이고 있었는데요...ㅎㅎ
독감에 일주일을 뻗었다가 이제 조금씩 회복중ㅠㅠ 그려 그 구상중인 탐정은 아무것도 아녀^^
기분전환으로 허니문 차일드에서 베이베로 바꿨습니다. ㅎㅎ 추리닝님 글 읽다보면 회사에 금방 도착한다는. 덕분에 아이폰 배터리 빨리 소모돼도 마냥 즐겁다는. 탐정의 성격은 괴팍할수록, 특이할수록, 독특할수록 시선을 잡아 끄는 것 같습니다.^^
흐흐..글 자주 올려야한다는 압박을^^
이상하게 몇몇 팬들은 홈즈가 피도 눈물도 없는 추리 기계라고 얘기하더군요. 사회성이 부족할뿐이지 홈즈도 충분히 인간적인데(실수도 하고 말이죠)
저도 솔직히 최근엔 홈즈가 그다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더라고요^^; 어릴때부터 봐온 너무 익숙한 캐릭터라서 그런 것 같아요^^ 그래서 여전히 탐정하면 홈즈!!
<셜록 홈즈 사건집>에 나오는 단편 <세 명의 개리뎁>을 보면 왓슨이 범인의 총에 맞았을 때 홈즈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대목이 있죠, 홈즈가 왓슨을 얼마나 아끼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여러 캐릭터를 구상하고 있지요, 새해에 작가 분들 모두 좋은 글 많이 쓰시고 멋진 캐릭터를 많이 구상하시기 바랍니다.
과연 어떤 캐릭터가 튀어나올까 몹시 궁금~궁금~!
크핫핫 공룡탐정 ;;;;;;; 아우 생각만 해도 웃겨요. 크핫핫 ;;;; 음음 저도 제 캐릭터들 생각하는데... 아우 너무들 평범해요. 카메라이언만 해도 뭐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영혼이 보이는 정도 수준이니까요. 호호호... 라고 웃을 일이 아니잖아! OTL
카메라이언님은 이미 확고한 본인 캐릭텨 있으셔요^^
이 무슨 초 감동의 세계로 빠지는 말씀을... ;ㅂ;
한미모에 올릴 단편 열심히 쓰고 있사와요. 트릭을 중심으로 한 명탐정 카메라이언이 등장하는 롯데리아 살인사건-제목은 바뀌겠지만요-여요. 호호호. 기대하셔도 좋사와요-라고 자신있게 말은 못하겠습니다. OTL